목록전체 글 (12)
Yummy Story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1편에 이어 2편으로 찾아오게 되었습니다.앞부분은 주로 Spring Data JPA 프레임워크에 대한 정보 전달 내용이기 때문에Kotlin 환경에서의 설정 및 활용 방법을 확인하시려고 한다면 스크롤을 내려 "Setting" 영역과 "Use" 영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pring Data JPA의 내용도 굉장히 방대하기 때문에 본 아티클에서는 JPA 저장소 정의, 설정까지만 다루고 있습니다. JPA의 상세 기능은 추후에 더 다루도록 하겠습니다.)Spring Data JPAGithub :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data-jpa우선 Spring Data JPA는 Spring Data 프레임워크 서브 모듈 중 하..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최근 Kotlin 기반 Spring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Data Access 프레임워크로 Spring Data JPA를 채택했는데요.Java가 아닌 Kotlin을 사용할 때의 차이점과 주의할 점 몇 가지를 경험하게 되어 Spring Data JPA에 대한 내용과 더불어 경험한 내용들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 쓰다 보니...양이 너무 방대해져서 여러 편으로 나누게 되었습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Spring Data Commons / Core 에 대한 내용만 다룹니다. 개인적인 학습 및 정리 목적으로 작성하다보니 개념적인 얘기, 단순 번역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Spring Data JPA와 실제 설정과 사용 예제를 확인하고..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로그(Log)는 개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필연적인 존재입니다.사실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실행했을 때, 가장 먼저 접하는 것이 콘솔에 출력되는 로그이기 때문에 왠지 모르게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로그는 개발 과정과 운영 환경에서 디버깅 용도,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확인 용도로서 빈번하게 활용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그만큼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에 맞추어 의도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적으로 설정 및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 Logging과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보려고 합니다.(로그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본 아티클이 굉장히 길 수 있습니다!참고하셔서 필요한 내..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Spring Boot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때, 보통 Spring Initializer를 주로 사용합니다.이 때, 어플리케이션 초기 단계에 필요한 Dependecy들을 선택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가장 어려운 작업이 아닐까 싶습니다.추가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과 안해도 큰 문제가 없다는 생각 사이에서 고민하는 것이죠. 이 때, 항상 고민의 대상이 되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가 바로 "DevTools"가 아닐까 싶습니다.이번 아티클에서는 DevTools가 무엇인지, 무슨 효용이 있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Spring Boot - DevTools처음 Spring Initializer에서 해당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짧은 설명문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본래 Java를 주언어로 개발하던 상황이었지만 Kotlin을 빼놓을 수 없기에 가볍게 공부하면서 기록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아마 주위에 동일한 주제의 글들이 많음에도 작성하는 이유는 저만의 학습 정리를 위해서이니 가볍게 읽으시거나 참고용으로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부족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가감없이 피드백 주시면 너무 감사드릴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Java를 주언어로 사용했기도 했으니 Java와의 차이점을 비롯해 특징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Kotlin은 Java와 100% 호환 가능하면서도 현대적이고 간결 & 안전을 목표를 가지고 태어난 언어입니다.(실제로 홈페이지에 Modern, Concise, Safe 이 세 키워드로 정의한 것을 볼 수 ..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여러 Spring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Spring 속성 변수 설정과 직접 정의한 환경 변수 설정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요.그 설정 과정에서 Spring Framework에서는 정말 다양한 방법의 시스템 환경 변수 적용 방법을 지원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Spring 환경 변수 설정 과정에서 경험하고 학습하며 발견한 여러가지 환경 변수 적용 방법과 특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Spring Boot 환경변수 적용우선 Spring Boot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Configuration을 외부에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지원하는 방식은 "Java prorperties files" , "YAML ..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지난 Go에 대해 간단하게 개념을 알아본 게시글에 이어 Go를 사용하는 기초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부족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가감없이 피드백 주시면 너무 감사드릴 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변수와 연산자 활용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변수를 선언할 때, 아래와 같은 구조를 지켜 선언해야합니다."var ${Variable Name} ${Variable Type}" & "${Variable Name} = ${Variable Value}""var ${Variable Name} ${Variable Type} = ${Variable Value}""var ${Variable Name} = ${Variable Value}" (Go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타입 지정)상..

안녕하세요. 꿀맛규동 정동규입니다. 본래 Java를 주언어로 개발하던 상황이었지만 아래의 이유로 Go라는 언어에 흥미를 가져 학습을 시작하게 되었는데요!백엔드 진영에서의 서브 언어 학습 목표"비동기"와 "고루틴(goroutine)"에 대한 궁금증"경량 서버"와 "별도 런타임이 필요없는 실행환경"에 대한 궁금증"오픈소스"에 대한 흥미평소에는 Java로 개발을 해왔고 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언어로서 학습하고 옮기기보다는 비정기적으로 Go를 학습하고 학습한 내용을 공유드리려 합니다.아마 주위에 동일하게 개념이나 사용법에 대한 글들이 많음에도 작성하는 이유는 저만의 학습 정리를 위해서이니 가볍게 읽으시거나 참고용으로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부족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가감없이 피드백 주시면 너무 ..